일상생활잡담

여러 프로젝트로 나누어 진행하다보니 매번 빌드와 실행이 귀찮다.

Hcode 2022. 12. 9.

 

매번

 

cmd를 켜고...

.\gradlew.bat clean build 해주고

build/libs에서 java -jar 파일명

 

해줘야 하니... 

 

뭔가 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검색해보니

쿠버네티스(큐브, k8s)라는 게 있던데

그것에 대해 좀 알아봐야겠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런타임을 통해 컨테이너를 오케스트레이션 하는 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면 각각의 컨테이너를 일일이 하나씩 관리하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기밀이나 앱 환경 구성처럼 개발자가 하기 귀찮은 세부 관리도 도맡아 해 주니 더욱 편리하게 개발에 나설 수 있죠. -
 

쿠버네티스, 도커 지원 중단! 어떻게 해야 할까요? | 패스트캠퍼스

쿠버네티스와 도커는 과연 무엇이고 둘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쿠버네티스가 도커 지원을 중단한 상황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fastcampus.co.kr

 

오케스트라... 좋은 울림이다!

 

기밀이나 앱 환경 같은 것을 개발자가 신경쓰지 않게 해 준다는 것도 멋있다.

 

하지만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도커 지원을 중단한다고 한다.

 

하지만...

 

먼저 쿠버네티스 런타임에서 도커를 제거하더라도 도커에서 만든 컨테이너 이미지를 등록하고 실행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도커가 생성하는 이미지는 도커에만 특정된 이미지가 아닌 OCI(Open Container Initiative)와 호환되는 이미지이기 때문이죠.

이미지는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호환은 역시 중요한것 같다.

스프링에서 요청 경로와 매핑된 Handler에 호환되는 HadlerAdapter를 찾는 게 갑자기 떠오른다.

 

그래서 개발은 여전히 도커로 진행하되, 이를 실행하는 컨테이너 런타임만 다른 것으로 바꾸면 큰 불편 없이 익숙한 환경에서 쿠버네티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도커가 도커 데스크톱(Docker Desktop)에서 리눅스를 기본 지원함은 물론 다양한 개발자 도구를 통합하는 도커 확장(Docker Extensions)도 제공한다고 하니 더 편리해지겠죠?

사용 예시까지 들어준다.

개발은 도커로 진행하되, 이를 실행하는 컨테이너 런타임만 다른 것으로 바꾸면 큰 불편 없이 익숙한 환경에서 쿠버네티스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무려 2년 전 글이다.

지금은 상황이 다를지도 모른다.

실제 사용하게 된다면, 해당 사항을 꼭 알아보고 사용해야 한다.

 


 

MSA(Microervice Architecture) 프로젝트를 구축할 때 여러 개의 서비스를 개발하고, 각 서비스를 따로 빌드하고 실행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개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프로젝트에서는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기반의 도커(Docker) 이미지를 사용합니다. 

도커를 사용하면 각 서비스를 독립적인 컨테이너로 구성할 수 있어, 개별적으로 서비스를 빌드하고 실행하는 대신 모든 서비스를 한 번에 빌드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MSA 프로젝트를 구축할 때 생기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시원에 들어왔다.  (0) 2023.01.07

댓글